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5년 4월, SK텔레콤(SKT)에서 발생한 대규모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건은 국내 금융권 전반에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이번 사태로 인해 은행과 보험, 카드사 등 금융기관들은 명의도용, 계좌탈취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본인 인증 절차를 대폭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안면(얼굴) 인증 도입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데, 이 포스팅에서는 사건의 배경부터 은행권의 대응, 안면 인증 기술의 원리와 실제 적용 사례, 그리고 소비자가 취할 수 있는 보안 대책까지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 SKT 유심 해킹 사건 개요

2025년 4월 19일, SKT의 중앙 서버가 해커의 악성코드 공격을 받아 최대 9.7GB 분량의 유심 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유출된 정보에는 전화번호, 유심 인증키값, IMSI(이동가입자식별번호), IMEI(단말기고유식별번호) 등 핵심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복제폰 개통, 명의도용, 보이스피싱 등 2차 금융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높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 SKT 가입자 약 2,500만 명 정보 일부 유출
  • 유심 정보만으로 복제폰·대포폰 개통 가능성
  • 보이스피싱, 스미싱, 심 스와핑 등 2차 범죄 우려
  • 유심보호서비스 무료 제공, 유심 무상 교체 등 긴급 조치 시행

 

💡 은행권의 즉각적 대응: 안면 인증 강화

SKT 유심 해킹 사태 직후,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주요 은행들은 안면(얼굴) 인증을 포함한 복수 본인확인 절차를 신속하게 도입·강화했습니다. 기존에는 휴대폰 본인인증, 계좌 비밀번호, 신분증 촬영 등 다단계 인증 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나, 복제 유심을 통한 명의도용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SKT 고객에 한해 추가로 얼굴 인증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은행 강화된 인증 방식 적용 대상
KB국민은행 얼굴 인증 추가, FDS(이상거래 탐지) 강화 SKT 고객 인증서 발급, 주요 금융거래
신한은행 새 기기 접속 시 얼굴 인증, FDS 강화 모든 고객(기기 변경 시)
하나은행 비대면 계좌개설 시 얼굴 인증 SKT 고객
우리은행 새 기기 접속 시 얼굴 인증, FDS 강화 모든 고객(기기 변경 시)
NH농협은행 FDS 및 얼굴 인증 확대 검토 전체 고객
  • SKT 고객은 인증서 발급, 비대면 계좌 개설, 새 기기에서 금융 앱 설치 시 얼굴 인증 필수
  • 이상거래 탐지시스템(FDS) 고도화 및 실시간 모니터링 강화
  • 일부 보험·캐피탈 등은 SKT 휴대폰 인증 일시 중단

 

👁️ 안면 인증(얼굴 인증) 기술, 어떻게 작동하나?

안면 인증은 고객이 제출한 신분증 사진과 실시간 촬영한 얼굴 이미지를 AI로 비교해 본인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입니다. 최근 금융결제원 주도로 다수 은행이 공동 안면인식 시스템을 도입했고, 알체라 등 국내 AI 기업이 99.9% 이상의 정탐률을 보장하는 안티 스푸핑(Anti-Spoofing) 기술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신분증 사진과 실시간 얼굴 영상의 AI 대조
  • 사진·영상 위조, 도용 시도 99.9% 이상 탐지
  • 스마트폰 카메라로 1초 이내 실시간 인증
  • 위·변조 방지(PAD) 국제 표준 인증 획득
  • 금융권, 통신사 개통, 출입통제 등 다양한 분야 적용

 

🔒 은행별 안면 인증 적용 사례와 보안 체계

  • KB국민은행: 2025년 4월 28일 오후 5시부터 SKT 고객 인증서 발급 시 얼굴 인증 필수, 스타뱅킹 앱 부정 접속 FDS 강화, 비상대응 TF 운영
  • 신한은행: 기기 변경 후 금융 앱 설치 시 얼굴 인증 추가, 기존 ARS 인증에서 얼굴 인증으로 전환
  • 하나은행: 비대면 계좌 개설 시 SKT 고객에 한해 얼굴 인증 도입, 이상거래 탐지시스템 고도화
  • 우리은행: 새 기기에서 전자금융거래 시 얼굴 인증 후 인증서 재발급, 유심 복제 의심 건 FDS 탐지 강화
  • NH농협은행: 전체 시스템 악성코드 점검, FDS 및 얼굴 인증 적용 확대 검토

은행들은 복제 유심이나 대포폰을 통한 인증서 부정 발급, 계좌 개설, 대출 실행 등 부정 금융거래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비대면 계좌개설·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가입도 권장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 안내

 

⚠️ 소비자 보안 체크리스트 & FAQ

  • 유심보호서비스 무료 가입: SKT 홈페이지/T월드 앱에서 즉시 가능. 무단 기기변경, 로밍, 비정상 인증 차단.
  • 유심 비밀번호 재설정: 통신사 앱/고객센터에서 간편 변경.
  • 비대면 계좌개설·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가입: 금융사 앱/홈페이지에서 신청. 신규 계좌 개설, 대출 실행 사전 차단.
  • 기존과 다른 기기에서 금융거래 시 얼굴 인증 요구: 본인 외 타인이 시도하면 즉시 차단.
  • 보이스피싱·스미싱 주의: 의심 문자·전화 즉시 신고.
  • 피해 의심 시: SKT 고객센터(080-800-0577), 금융감독원(1322), KISA(118) 즉시 신고.

 

📊 SKT 유심 해킹 이후 금융권 보안 강화 현황 요약

조치 내용 적용 기관 비고
안면(얼굴) 인증 도입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주요 은행 SKT 고객 및 기기 변경 시
이상거래 탐지시스템(FDS) 고도화 전 금융권 실시간 모니터링, 부정거래 차단
SKT 본인인증 일시 중단 보험, 캐피탈, 일부 카드사 피해 예방 목적
비대면 계좌개설·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권장 전 금융권 신규 계좌·대출 사전 차단

 

📝 결론 : 금융보안의 새로운 표준, 안면 인증

SKT 유심 해킹 사태는 한국 금융권에 안면 인증이라는 새로운 보안 표준을 빠르게 정착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기존의 휴대폰 인증, 비밀번호, 신분증만으로는 막을 수 없는 복제 유심·명의도용 위험을 얼굴 인증이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금융기관들은 AI 기반 생체 인증, FDS, 실시간 모니터링 등 다층 방어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전망입니다.
소비자 역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비밀번호 변경,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 등 적극적인 보안 실천이 필요합니다. 불안감이 커진 만큼, 본인 명의 계좌와 개인정보 보호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할 시기입니다.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공지사항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